1가구 2주택 양도소득세

양도소득세, 종합부동산세등 부동산 세금 가이드. 1가구 2주택 양도소득세, 일시적 1가구 2주택 요건 및 조정지역 및 비조정지역간의 비과세요건 지금 바로 확인해보세요.

1가구 1주택의 범위

1가구가 양도일을 기준으로 1주택을 보유하고 있으며, 보유 기간이 2년 이상인 경우 해당 주택의 양도차익에 대한 양도소득세는 부과되지 않습니다. (단, 조정지역에 한해서 2017년 8월 3일 이후 취득한 주택에 대해서는 거주기간 2년 이상 포함)

반면, 1가구 1주택이더라도 양도가액이 12억원을 초과하는 고가의 주택이라면 양도차익중 12억원의 초과분에 대해서는 과세가 됩니다. – 소득세법 시행령 제 154조

양도소득세란?

주택, 건물이나 토지 등의 재산을 타인에게 소유권을 양도함에 따라서 발생하는 양도소득에 대해 부과되는 세금.

양도소득세는 양도받는 자(납세의무자)가 반드시 신고, 납부해야하는 세금으로 신고가 불이행됐을 때 가산세 등의 불이익이 따를 수 있습니다.

일시적 1가구 2주택

양도소득세 산정 시 2주택 혹은 1주택으로 선택해야 하는지 헷갈릴 수 있습니다. 아래의 요건을 충족한다면 일시적 1가구 2주택자로 1가구로 선택하시면 됩니다.

  1. 1주택 보유자가 양도하기 전에 신규 주택을 구입하여 일시적으로 2주택이 된 경우에는 종전주택의 취득날을 기준으로 신규주택 구입 시기가 1년 이상이어야 합니다. 또한 신규 주택 구입 후 종전주택을 취득한 날로부터 3년 이내 양도한다면 비과세 특례를 적용받습니다.
  2. 만약 종전/신규주택 모두 조정지역에 해당하면, 신규주택을 취득한 날로부터 1년 이내에 종전주택을 양도해야합니다.
양도소득세

양도소득세 세율

  • 조정지역 1가구 2주택 – 기본세율 + 20%
  • 조정지역 1가구 3주택 – 기본세율 + 30%

양도소득세 세율은 보유기간 및 양도시점에 따라 세율이 차등 적용 됩니다.

2021년 6월 1일 이후 양도분부터는 보유기간 1년 미만의 경우에는 70%, 보유기간 1년 이상 2년 미만의 경우에는 60%로 큰 폭으로 상승합니다.

증여세 신고방법

증여세 면제한도부터 신고방법까지 한눈에 확인.

부동산 시세조회

아파트, 주택, 토지등 간편한 실거래가 조회 안내.

개별공시지가

2022년 개별공시지가 조회 안내

보금자리론

주택 담보 대출중 아낌e 보금자리론 안내